[자] 재의 예식 다음 목요일

1회독

▥ 신명기의 말씀이다.30:15-20
모세가 백성에게 말했습니다.
15 “보라, 오늘 나는 삶과 행복, 죽음과 불행을 네 앞에 두었다.
16 내가 오늘 네게 명하는 네 하나님 여호와의 명령을 듣고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고 그의 도를 행하라
그의 계명과 율례와 규례를 지키면 살며 번성하리라
주 너의 하나님
네가 들어가 차지할 땅에서 네게 복을 주실 것이다.
17 그러나 너희 마음이 돌이켜 듣지 아니하고
다른 신을 섬기고 섬기고 싶은 마음이 든다면
18 내가 오늘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는 반드시 망할 것이다.
너희가 건너가 차지할 땅에서 오래 살지 못할 것이다.
19 오늘 내가 하늘과 땅을 증인으로 세워
삶과 죽음, 축복과 저주가 당신 앞에 놓여 있습니다.
당신과 당신의 후손이 살고 싶다면 생명을 선택해야 합니다.
20 또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여 그의 말을 듣고 그를 붙들어야 할지니라
주님은 당신의 생명이십니다. 그리고
당신의 조상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맹세하신 땅에서
그는 당신에게 장수를 줄 사람입니다.”
주님의 말씀.
◎ 하나님 감사합니다.

복음

“누구든지 나 때문에 제 목숨을 잃는 사람은 구할 것이다.”

✠ 루카가 전하는 거룩한 복음입니다.9:22-25
그때에 예수께서는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사람의 아들은 많은 고난을 견뎌야 합니다.
장로들과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에게 배척을 받고 죽임을 당합니다.
3일째 되살아나야 한다”고 말했다.
23 예수께서 모든 사람에게 말씀하셨다.
“나를 따르려는 사람은
날마다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한다.
24 누구든지 제 목숨을 구하려는 자는 잃을 것이요
나 때문에 자기 목숨을 잃는 사람은 구할 것이다.
25 사람이 온 천하를 얻고도 잃거나 해를 입으면 무슨 소용이 있으리요
주님의 말씀.
◎ 그리스도, 당신을 찬양합니다.

오늘의 명상

사순절을 시작하면서 교회는 모세(제1독서)와 예수님(복음)의 공통된 말씀을 묵상하도록 우리를 초대합니다. 그것은 우리가 “선택”의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라, 오늘 나는 삶과 행복, 죽음과 불행을 네 앞에 놓는다. 너와 네 후손이 살고 싶으면 생명을 택해야 한다.” “누구든지 나를 따르려면 자기를 버리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 누구든지 제 목숨을 구원코자 하면 잃을 것이요 누구든지 나를 위하여 제 목숨을 잃으면 구원하리라.” 하나님은 우리에게 생명의 길을 보여주시고 선택의 자유를 주셨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선택을 해야 합니다. 그러나 프란치스코 교황이 말했듯이 그 선택은 쉽지 않습니다(2015년 2월 19일 애쉬 후 목요 설교 참조). 매일 새로운 선택을 하는 것보다 습관과 게으름으로 사는 것이 더 쉽기 때문입니다.
모세는 40년 동안 광야에서 살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약속의 땅에 들어가기 전에 하나님의 계명대로 살기로 다시 한 번 결단하라고 호소합니다. 우리는 여러분이 이집트의 노예 제도를 포기하고 약속의 땅에서의 삶의 방식을 위해 새로운 선택을 하도록 도전합니다. 세례를 통해 새로운 삶을 살기로 결심한 우리의 신앙생활은 어떤 모습일까요? 우리의 삶은 “그 마음을 돌이켜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아니하고 이끌려 다른 신에게 경배하며 섬기던”(신명기 30:17 참조) 이스라엘 백성처럼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생명과 구원의 길에서 등을 돌리고 있습니까? )? 하나님을 의지하고 그 앞에서 우리의 삶을 선택하는 대신에 우리는 모차르트의 오페라 제목인 “Cozy fan tutte”(“누구나 다 한다”)처럼 많은 사람들이 남들처럼 가는 방향으로 살고 있지는 않습니까?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는 당신의 삶에 대해 두 가지 질문을 스스로에게 해보라고 권유하십니다. 먼저 “나에게 하나님은 누구인가?”, 그 다음에는 “오늘 나는 주님을 선택하고 있는가?”입니다. 둘째, ‘부모, 형제, 아내, 남편, 자녀와의 관계는 어떻습니까?’ 하나님과의 관계, 가정과의 관계를 소홀히 하고 다른 일에 몰두하면 오늘날 복음이 말하는 것처럼 “온 천하를 얻고 자신을 잃는” 삶이 되지 않겠습니까? 잠시 하던 일을 멈추고 생각을 멈추고 어떤 삶을 살고 있는지 살펴보자. 그리고 다시 주님과 동행하는 삶을 선택합시다.

(아버지 정용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