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초피부과 마스크 장시간 착용시 접촉성 피부염 주의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공공장소와 대중교통 시설에서 마스크 착용과 손소독이 일상화됐다.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마스크 착용과 손소독은 필수지만, 지속적인 사용으로 피부 트러블을 호소하는 속초피부과를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그렇다면 피부를 보호하면서 마스크와 손소독제를 현명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없을까? 속초피부과의원 사람의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피부는 감각 기관의 기능, 체온 조절, 수분 및 전해질의 누출 방지와 같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유해한 외부 자극이나 이물질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고 손 소독제를 자주 사용하면 피부 보호막인 유수분 밸런스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피부에 직접적인 자극을 준다고 하기는 어렵지만 장시간 착용하고 나면 마스크 내부의 습도가 높아지면서 노폐물, 땀, 화장품, 이물질 등이 섞여 모공을 막고 트러블을 유발하게 됩니다. . 또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합성섬유와 접착제로 만든 일회용 마스크의 경우 피부에 장시간 접촉하면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다.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마스크를 장기간 지속적으로 착용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착용 시에는 피부에 소량의 화장품만 바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또한 마스크는 내부가 오염된 경우 재사용하지 말고 수시로 교체해야 합니다. 사용하기 쉬운 손 소독제를 예로 들면, 자주 사용하면 피부 표피의 지질층이 파괴되고 각질층이 날아가 피부가 더 건조해집니다. 결국 손소독제의 잦은 사용은 피부 장벽을 무너뜨리고 외부 자극에 더욱 민감해지는 역설적인 상황을 초래한다. 손소독제 사용 시 보습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에탄올 농도가 너무 높은 소독제는 피부에 너무 자극적이므로 60~80% 농도의 제품이 적당하다.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 자체로는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으나 장시간 착용 시 높은 습도로 인해 이물질이 흡수되어 마스크에 피부가 계속 접촉하게 되어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간에 마스크를 떼었다가 피부에 휴식을 주고 마스크 내부가 오염된 것을 발견하면 바로 교체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미 살균이 완료된 상태이므로 보습제를 사용한다고 해서 살균 효과가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손소독제 사용 후 보습제를 사용하여 피부장벽 손상을 방지합니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마스크 착용과 손소독도 중요하지만 피부관리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